본문 바로가기

건강 정보

소세포폐암 완벽 가이드: 원인, 증상부터 진단 방법까지

반응형

안녕하세요. 건삼입니다!

소세포폐암은 폐암의 한 유형으로, 빠르게 진행되고 예후가 좋지 않은 암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글에서 말한 대로 소세포폐암의 정의, 원인, 증상, 진단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. 자세히 준비한 만큼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:)


소세포폐암(Small Cell Lung Cancer, SCLC)이란?

소세포폐암은 폐의 주기관지에 인접한 부위에 존재하는 "신경내분비세포(neuroendocrine cells)"에서 기원하는 고등급 신경내분비종양(high-grade neuroendocrine tumor)입니다. 전체 폐암 중 약 15%를 차지하며, 급속한 증식 및 조기 전이가 특징입니다. 일반적으로 종양은 중심부 폐에 발생하며, 폐문 및 종격동 림프절로 쉽게 퍼지며 이후 간, 뇌, 골격계 등으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입니다.

주요 병리학적 특성
  • 세포핵이 작고 밀집된 형태 ("salt and pepper" chromatin)
  • 높은 유사분열율(mitotic rate)
  • 종양괴사(necrosis)가 흔함
임상적 특징
  • 대부분이 진단 시 광범위한 전이 상태
  • 치료 반응은 좋으나 재발률이 높고 예후 불량

발생 원인 및 위험요인

소세포폐암의 발생은 대부분 환경적 요인, 특히 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.

주요 원인 및 역학적 인자

  • 흡연 (Cigarette Smoking):
    • 전체 SCLC 환자의 약 95% 이상이 흡연력이 있음
    • 담배 속 발암물질(benzo[a]pyrene 등)이 폐 세포의 DNA 손상을 유발
  • 간접흡연 (Second-hand smoking):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비흡연자에게도 위험 증가
  • 라돈(Radon): 자연 방사성 기체로 실내 공기 내 고농도 노출 시 폐암 위험 증가
  • 석면 및 기타 발암물질: 석면(asbestos), 비소(arsenic), 크롬, 니켈 등
  • 유전적 요인: TP53, RB1 유전자 돌연변이가 소세포폐암의 대표적 분자생물학적 이상

주요 증상 및 발현 양상

소세포폐암은 대부분 "중심부 종양(central tumor)"이므로 기도 폐쇄 증상이 흔하며, 전신적 악성 증후군도 자주 동반됩니다.

주요 증상
  • 기침 및 객혈: 폐문부 종양으로 인한 기도 자극 및 혈관 침윤
  • 호흡곤란: 폐렴 동반, 기도 폐쇄, 흉수 발생 등
  • 흉통: 늑막 침범 또는 종격동 압박
  • 체중 감소, 식욕부진: 전신 소모성 증후군(cachexia)
  • 피로감 및 무기력: 진행암의 일반적인 특징
암의 진행에 따른 이차 증상
  • 뇌 전이: 두통, 구토, 혼란, 경련
  • 골 전이: 뼈 통증, 병적 골절
  • 부신 전이: 무증상이 많으나 때때로 전해질 불균형 동반
파라네오플라스틱 증후군 (Paraneoplastic syndrome)
  • SIADH (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): 저나트륨혈증
  • 쿠싱 증후군: 부신피질자극호르몬(ACTH) 유사물질 분비
  • 신경근 병증: Lambert-Eaton 증후군 등

소세포폐암의 진단 방법

정확한 병기 결정과 조직학적 분류를 위한 다단계 진단 과정이 필요합니다.

영상 진단
  • 흉부 X선: 초기 선별용, 종괴 또는 림프절 종대를 확인
  • 흉부 CT (Chest CT): 병변의 위치, 크기, 주변 침범 평가
  • PET-CT: 전신 전이 여부 확인 및 병기 결정에 필수
  • 뇌 MRI: 뇌 전이 가능성이 높은 소세포폐암 특성상 기본 검사
조직학적 확진 (Histological Confirmation)
  • 기관지내시경 검사 (Bronchoscopy): 시각적 관찰과 생검 가능
  • 세침흡인세포검사(FNA): 림프절 또는 폐 외 병변에서 흡인
  • 면역조직화학 염색 (IHC):
    • 표지자: Chromogranin A, Synaptophysin, CD56
병기 구분 (Staging)
  • 제한병기(Limited Stage):
    • 종양이 한쪽 폐 및 동일 측 흉곽 내 림프절에 국한됨
    • 방사선 치료 병행 가능
  • 확장병기(Extensive Stage):
    • 반대쪽 폐, 원격 림프절, 간, 뇌 등으로 전이
    • 전신 항암 치료 중심으로 진행

정확한 병기 설정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고 예후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.


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! 다음 글에서는 치료방법, 최신연구동향, 예방법, 관리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준비해 보겠습니다. 감사합니다:) 오늘도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!😉

반응형